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는 정부가 다양한 장려금과 세제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직접적인 금전 혜택이 주어지는 대표적인 제도로, 정규직 취업 유도와 고용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소기업 취업 청년이 받을 수 있는 대표 지원금, 특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도약장려금)의 신청 조건, 금액, 절차, 유의사항 등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기업에 최대 1년간 인건비를 간접 지원하고, 청년에게는 정규직 일자리와 안정적인 근속 기반을 제공하는 고용노동부 주관 정책입니다.
총 지원 규모 (2025년 기준)
- 기업: 청년 1인당 최대 960만 원 (월 80만 원 × 12개월)
- 청년: 정규직 전환 시 근속형 인센티브 연계 가능
2. 지원 대상과 조건
청년 요건
- 만 15세 ~ 34세 이하
-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였던 자
- 채용일 기준 6개월 이내 취업 경험 無
기업 요건
-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 고용 증가 및 상시 근로자 유지 필요
정규직 조건
- 주 30시간 이상, 정규직 고용
- 6개월 이상 근속 시 첫 분기 지급 가능
3. 신청 방법 및 절차
1. 기업 사전 등록
2. 청년 채용 후 1개월 내 신청
3. 고용보험 가입 확인 및 서류 제출
4. 분기별 지원금 지급 (최대 4회)
신청 사이트: 워크넷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4. 유의사항 및 꿀팁
- 중복수령 불가: 내일 채움공제 등과 함께 받을 수 없음
- 고용유지 필수: 중도 퇴사 시 지원금 환수
- 청년도 워크넷에 구직등록 필수
- 기업도 허위고용 시 참여 제한
- 참여기업 리스트에서 청년이 직접 지원 가능
5. 도약장려금 외 청년 취업 지원 제도 한눈에 보기
제도명 | 주요 내용 | 대상 |
---|---|---|
청년내일채움공제 | 2~3년 근속 시 1,200만 원 적립 | 중소기업 취업 청년 |
청년일경험지원 | 단기 인턴십 제공 | 미취업 청년 |
국민취업지원제도 | 월 50만 원 구직촉진수당 | 저소득 구직자 |
K-디지털 트레이닝 | 디지털 직무 훈련 무료 | IT 희망 청년 |
결론: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정책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단순 취업을 넘어서 정규직 전환과 장기 고용 안정성까지 고려된 정책입니다. 청년은 일자리, 기업은 인건비 지원을 통해 상호 윈윈 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예산이 확대되어 참여 기업도 늘어날 예정이므로, 지금 바로 워크넷에서 참여기업을 찾아보고, 당신의 첫 직장을 전략적으로 선택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