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소기업 취업 청년 지원금 요약 (도약장려금)

by sobiii 2025. 9. 15.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는 정부가 다양한 장려금과 세제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직접적인 금전 혜택이 주어지는 대표적인 제도로, 정규직 취업 유도와 고용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소기업 취업 청년이 받을 수 있는 대표 지원금, 특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도약장려금)의 신청 조건, 금액, 절차, 유의사항 등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기업에 최대 1년간 인건비를 간접 지원하고, 청년에게는 정규직 일자리와 안정적인 근속 기반을 제공하는 고용노동부 주관 정책입니다.

총 지원 규모 (2025년 기준)
- 기업: 청년 1인당 최대 960만 원 (월 80만 원 × 12개월)
- 청년: 정규직 전환 시 근속형 인센티브 연계 가능

2. 지원 대상과 조건

청년 요건
- 만 15세 ~ 34세 이하
-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였던 자
- 채용일 기준 6개월 이내 취업 경험 無

기업 요건
-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 고용 증가 및 상시 근로자 유지 필요

정규직 조건
- 주 30시간 이상, 정규직 고용
- 6개월 이상 근속 시 첫 분기 지급 가능

3. 신청 방법 및 절차

1. 기업 사전 등록
2. 청년 채용 후 1개월 내 신청
3. 고용보험 가입 확인 및 서류 제출
4. 분기별 지원금 지급 (최대 4회)

신청 사이트: 워크넷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4. 유의사항 및 꿀팁

- 중복수령 불가: 내일 채움공제 등과 함께 받을 수 없음
- 고용유지 필수: 중도 퇴사 시 지원금 환수
- 청년도 워크넷에 구직등록 필수
- 기업도 허위고용 시 참여 제한
- 참여기업 리스트에서 청년이 직접 지원 가능

5. 도약장려금 외 청년 취업 지원 제도 한눈에 보기

제도명 주요 내용 대상
청년내일채움공제 2~3년 근속 시 1,200만 원 적립 중소기업 취업 청년
청년일경험지원 단기 인턴십 제공 미취업 청년
국민취업지원제도 월 50만 원 구직촉진수당 저소득 구직자
K-디지털 트레이닝 디지털 직무 훈련 무료 IT 희망 청년

결론: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정책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단순 취업을 넘어서 정규직 전환과 장기 고용 안정성까지 고려된 정책입니다. 청년은 일자리, 기업은 인건비 지원을 통해 상호 윈윈 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예산이 확대되어 참여 기업도 늘어날 예정이므로, 지금 바로 워크넷에서 참여기업을 찾아보고, 당신의 첫 직장을 전략적으로 선택해 보세요.

 

정부가 주는 다양한 장려금을 표현